맨위로가기

서울 모터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모터쇼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되는 국제적인 모터쇼로, 한국 자동차 산업의 발전과 함께 성장해왔다. 1995년 처음 개최된 이래로, 신차 및 신기술 공개의 장으로서 한국 자동차 산업의 성장과 미래 모빌리티 비전을 제시하는 역할을 해왔다. 2021년 서울 모빌리티 쇼로 명칭을 변경하며, 모빌리티 전반을 아우르는 행사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동차 전시회 - 부산 국제 모터쇼
    부산 국제 모터쇼는 2001년 부산에서 시작되어 격년으로 개최되는 자동차 전시회로, 다양한 주제를 통해 자동차 산업의 최신 동향과 미래 기술을 선보여왔으나, 최근에는 규모 축소 및 일부 브랜드 불참 논란이 있다.
  • 자동차 전시회 - 파리 모터쇼
    파리 모터쇼는 쥘 알베르 드 디옹이 1898년 시작한 세계 최초의 모터쇼로, 두 차례의 세계 대전과 경제 위기,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도 명맥을 이어오며 최신 자동차 기술과 모델을 선보이는 국제적인 행사이다.
  • 대한민국의 전시회 - 경기국제관광박람회
    경기국제관광박람회는 2003년부터 매년 열리는 박람회로, 국내외 여행 상품, 레저 용품, 뷰티 상품, 농촌 체험 프로그램, 겨울 관광 상품 등을 소개하고 체험 기회를 제공하며, 주요 여행사와 기관이 참여하여 경기도 내 주요 시설에서 개최된다.
  • 대한민국의 전시회 - 부천국제만화축제
    부천국제만화축제는 1998년부터 시작되어 부천시 일대에서 매년 개최되는 만화 축제로,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부천만화대상을 통해 우수 작품을 선정, 시상하여 한국 만화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1995년 설립 - 여의도연구원
    여의도연구원은 역대 이사장과 원장 목록을 제공하며, 이 목록은 여의도연구소와 여의도연구원의 역대 직책자들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 1995년 설립 - MSN
    MSN은 1995년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95와 함께 출시한 웹 포털이자 관련 서비스 모음으로, 뉴스,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금융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주요 온라인 서비스를 통합하는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서울 모터쇼
개요
명칭서울 모빌리티 쇼 (SEOUL MOBILITY SHOW)
이전 명칭서울 모터쇼 (1995년 ~ 2021년)
종류국제 모터쇼
개최 주기격년 (홀수 해)
첫 개최1995년
장소고양 킨텍스
주최한국자동차산업협회 (KAMA)
한국수입자동차협회 (KAIDA)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KAICA)
후원산업통상자원부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서울 모터쇼는 1995년 처음 개최된 이후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의 발전과 함께 성장해왔다. 초기에는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신차 공개 및 경쟁의 장이었으며, IMF 외환 위기 속에서도 꾸준히 개최되어 한국 자동차 산업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2005년부터는 킨텍스(KINTEX)에서 개최되면서 국제적인 규모의 모터쇼로 발돋움하기 시작했다.

2007년부터는 친환경차와 미래 기술이 주요 테마로 등장했다. 2009년에는 세계적인 경제 불황 속에서도 국내 제조사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신차와 친환경 기술을 선보였다. 2011년에는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되었으며, 한국GM이 사명 변경 후 처음으로 참가했다. 2013년에는 킨텍스 제2전시장 완공으로 더욱 확대된 규모로 개최되었다.

2017년부터는 미래 모빌리티 비전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2021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으로 규모가 축소되고 명칭이 서울 모빌리티 쇼로 변경되었으며, 현대자동차그룹이 유일한 한국 기업으로 참가했다. 2023년에는 KG 모빌리티 (구 쌍용자동차)가 새롭게 참여하고, UAM 및 모빌리티 기업으로의 확장을 보여주는 등 다시 활기를 찾고 있다.

2. 1. 1995년 ~ 2005년: 한국 자동차 산업의 성장과 함께

1995년 첫 서울 모터쇼는 한국 자동차 산업의 급성장과 함께 열렸다.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이 모터쇼를 통해 신차를 공개하고 경쟁을 벌였다.[16] IMF 외환 위기에도 불구하고 1997년,[15] 1999년, 2002년에도 지속적으로 개최되어 한국 자동차 산업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2005년에는 킨텍스(KINTEX)에서 처음으로 개최되어[8] 국제적인 규모의 모터쇼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되었다.

각 회차별 주요 전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도주요 전시 내용
1995년[16]
1997년[15]
1999년
2002년
2005년[8]


2. 2. 2007년 ~ 2015년: 친환경차와 미래 기술의 등장

2007년 제6회 서울 모터쇼는 '창조 ~ 새로운 세계가 열리다'라는 주제로 4월 5일부터 4월 15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되었다. 이 행사에서는 GM대우 L4X (이후 베리타스), 현대 FD 해치백, 현대 HCD-10 헬리온 컨셉, 기아 KCD-3 큐 컨셉, 쌍용 Wz 컨셉, 르노삼성 QMX (이후 QM5) 등 다양한 차종이 공개되었다.[1]

2009년 제7회 서울 모터쇼는 '아름다운 기술, 훌륭한 디자인'을 주제로 2009년 4월 3일부터 12일까지 KINTEX에서 열렸다. 세계적인 불황으로 닛산, BMW 등 해외 제조사들의 참가가 줄어든 가운데, 국내 제조사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현대 아반떼·LPi 하이브리드, 현대 블루윌 컨셉트, 현대 제네시스·프라다, 기아 쏘렌토R, 기아 포르테·LPi 하이브리드, GM대우 마티스 후속 차량(이후 마티스 크리에이티브), 쉐보레 볼트, 르노삼성 SM3 (2세대), 르노삼성 eMX 컨셉트, 쌍용 C200 등이 전시되었다.[2]

2011년 제8회 서울 모터쇼는 '진화, 타이어 위의 그린 혁명'이라는 주제로 2011년 4월 1일부터 10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되었다. 8개국 139개사가 참가하여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으며, 한국GM은 사명 변경 후 처음으로 참가했다. 현대 HSD-6 콘셉트, 현대 벨로스터, 현대 쏘나타 하이브리드, 현대 VF (i40), 기아 KND-6 콘셉트, 기아 K5 하이브리드, 쌍용자동차 KEV2, 쉐보레 밀레, 쉐보레 볼트 (하이브리드카), 알페온 e-Assist, 르노삼성 SM7 콘셉트 (2세대) 등 다양한 차량이 공개되었다.[3]

2013년 제9회 서울 모터쇼는 '자연을 품고, 사람을 품다'라는 주제로 2013년 3월 29일부터 4월 7일까지 개최되었다. 12개국 210개사가 참가하여 지난 행사보다 규모가 커졌으며, 2011년 9월 킨텍스 제2전시장 완공으로 킨텍스와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진행되었다. 현대 HND-9, 현대 아반떼 쿠페, 현대 아반떼 EV, 기아 CUB, 기아 크로스 GT, 기아 카렌스 (4세대, RP형), 쉐보레 스파크 EV, 쉐보레 카마로 핫휠, 르노삼성 QM3 (르노 캡처의 르노삼성 버전), 르노삼성 SM5 XE TCE, 쌍용 LIV-1 등 다양한 차종이 전시되었다.[4]

2015년 제10회 서울 모터쇼는 '기술을 만나다, 예술을 느끼다'라는 주제로 2015년 4월 3일부터 4월 12일까지 개최되었다. 33개 자동차 제조사가 참가하고 약 350대의 차량이 전시되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전시장은 킨텍스와 킨텍스2에서 진행되었으며, 전시 면적은 91.141m2였다. 쉐보레 스파크 (차기 모델), 현대 엔듀로 (세계 최초 공개), 현대 쏘나타 PHEV, 현대 쏠라티 (한국 최초 공개), 기아 K5 (JF형), 기아 노보 컨셉 (세계 최초 공개), 쌍용 XAV 컨셉, 르노 에스파스 (한국 최초 공개), 르노삼성 에오랩 (한국 최초 공개, 르노 에오랩의 르노삼성 버전) 등이 전시되었다.[5]

2. 3. 2017년 ~ 현재: 미래 모빌리티 비전 제시

2017년 제11회 서울 모빌리티쇼는 3월 30일부터 4월 9일까지 진행되었다.[16] 2019년 제12회 서울 모터쇼는 3월 29일부터 4월 7일까지 개최되었으며, 테슬라가 참가하였다.[15]

2021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행사 규모가 축소되고 명칭이 서울 모빌리티 쇼로 변경되었다. 당초 4월 1일부터 4월 11일까지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2020년 10월에 7월 1일부터 7월 11일로 변경되었고[1], 대한민국에서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11월 25일부터 12월 5일로 다시 연기되었다.[2] 한국GM, 쌍용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와 많은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원사들이 불참하여 현대자동차그룹(현대자동차, 기아, 제네시스)이 유일한 한국 기업으로 참가했다.[3]

2023년 제14회 서울 모빌리티쇼는 3월 30일부터 4월 9일까지 킨텍스 제1전시관에서 개최되었다. 쌍용자동차가 KG 모빌리티로 사명을 변경하고 처음 개최되는 모터쇼였다. 기아, 현대자동차, 제네시스, KG 모빌리티 등이 참가하여 UAM 및 모빌리티 기업으로 확장되었다.

다음은 주요 차량의 공개 현황이다.

연도행사명주요 공개 차량
2017제11회 서울 모터쇼(해당 연도 주요 공개 차량 없음)
2019제12회 서울 모터쇼현대 쏘나타 1.6 터보, 기아 "Imagine by Kia" 콘셉트(아시아 데뷔), 기아 모하비 마스터피스 콘셉트, 기아 SP 시그니처 콘셉트, 르노삼성 XM3 인스파이어 콘셉트
2021제13회 서울 모빌리티 쇼기아 니로(SG2) - 세계 최초 공개, 현대 유니버스 모바일 오피스, 제네시스 Electrified GV70 - 대한민국 최초 공개
2023제14회 서울 모빌리티쇼현대 쏘나타 DN8 F/L - 세계 최초 공개, 기아 EV9 - 세계 최초 공개, KG 모빌리티 토레스 EVX - 세계 최초 공개, 이네오스 그레나디르 - 아시아 최초 공개


3. 역대 서울 모빌리티쇼

1995년부터 시작된 서울 모터쇼는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의 발전과 함께 성장해왔다. 각 회차별 주요 전시 차량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연도회차주요 전시 차량
1995년제1회기아 크레도스, 현대 넥스트원(아반떼 투어링)
1997년제2회현대 HMX 컨셉트카(현대 아토스), 기아 크레도스 파크타운, 기아 엔터프라이즈
1999년제3회현대 티뷰론 터뷸런스, 기아 카렌스(RS), 현대 트라제XG, 현대 싼타페(SM), 테라칸
2002년제4회GM대우 라세티(J200)(쉐보레 크루즈), 르노삼성 SM3(N17), 쌍용 무쏘 스포츠, 기아 오피러스(GH)
2005년제5회현대 그랜저(TG), 크라이슬러 300, 혼다 레전드, 스피라, GM대우 스테이츠맨(쉐보레 카프리스), 기아 그랜드 카니발(VQ)
2007년제6회르노삼성 QMX(르노삼성 QM5), 쌍용 뉴 카이런, 대우버스 BS120CN F/L, 현대 그랜드 스타렉스(TQ), GM대우 G2X(새턴 스카이), GM대우 베리타스(쉐보레 카프리스)
2009년제7회기아 K7(VG), 기아 쏘렌토 R(XM), 르노삼성 뉴 SM3(L38), 대우 마티즈 신형(M200)(쉐보레 스파크), 아우디 Q5, 포드 머스탱, 토요타 캠리, 토요타 프리우스, 토요타 RAV4, 현대 신형 에쿠스(VI), 현대 제네시스 프라다(BH), 현대 아반떼 LPi 하이브리드(HD), 기아 포르테 LPi 하이브리드(TD), 기아 포르테 쿱(TD), 현대 투싼 ix(LM)
2011년제8회르노삼성 올 뉴 SM7(L47), 포르쉐 911 카레라 GTS, 토요타 코롤라, 토요타 시에나, 현대 쏘나타(YF) 하이브리드, 기아 K5 하이브리드(TF), 기아 올 뉴 프라이드(UB), 쉐보레 크루즈 5(J300), 쉐보레 올란도, 쉐보레 캡티바, 쉐보레 카마로, 쉐보레 코르벳, 쉐보레 볼트, 스바루 임프레자, 르노삼성 뉴 SM3(L38) Z.E, 닛산 큐브
2013년제9회미니 페이스맨, 기아 K3 쿠페 & K3 해치백(YD), 현대 싼타페 롱바디 / 현대 맥스크루즈(NC), 현대 투싼 ix 페이스리프트(LM), 현대 투싼ix FCEV(LM), 르노삼성 QM3, 기아 올 뉴 카렌스(RP), 르노삼성 뉴 SM5(L43) 플래티넘 TCE, 닛산 쥬크, 현대 트라고 엑시언트(QZ)
2015년제10회현대 쏠라티(EU), 토요타 프리우스 V, 혼다 뉴 레전드, 쉐보레 올 뉴 스파크, 현대 올 뉴 투싼(TL), 기아 올 뉴 K5(JF), 닛산 무라노, 인피니티 Q70, 인피니티 Q70L, 링컨 올 뉴 MKX, 포드 올 뉴 몬데오 디젤(포드 퓨전), 포드 쿠가(포드 이스케이프), BMW i8, 현대 쏘나타(LF)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현대 올 뉴 마이티(WQ)
2017년제11회기아 스팅어, 쌍용 G4 렉스턴
2019년제12회현대 쏘나타(DN8)
2021년제13회기아 니로(SG2)
2023년제14회기아 EV9, 현대 쏘나타 DN8 F/L, 현대 코나 일렉트릭, 현대 파비스, 쌍용 토레스 전기차, 쌍용 KR10, 쌍용 F100, 쌍용 U100, 알파모터 울프


3. 1. 1995년 (제1회)

1995년 5월 4일부터 10일까지 제1회 서울 모터쇼가 개최되었다.[16]

이 행사에서 공개된 차종은 다음과 같다.

차종제조사비고
기아 크레도스기아[16]
현대 넥스트원현대이후 아반떼 투어링으로 출시[16]
네오 마티나 컨셉아시아자동차[17]
레토나 컨셉아시아자동차
DACC-II 컨셉대우
대우 No.1 컨셉대우2차 버전
No.2 컨셉대우
FGV-1 컨셉현대
HRV-21 컨셉현대
KEV-4 컨셉기아[18]
KMX-3 컨셉기아
CCR-1 컨셉쌍용[19]
CRS 컨셉쌍용
솔로 III 컨셉쌍용


3. 2. 1997년 (제2회)

현대 HMX 컨셉트카[15]는 그 해 12월 현대 아토스로 정식 출시되었다. 기아 크레도스 파크타운은 쇼카로, 이듬해인 1998년 7월에 출시되었다. 기아 엔터프라이즈도 이 때 전시되었다.

3. 3. 1999년 (제3회)

현대 티뷰론 터뷸런스, 기아 카렌스(RS) (쇼카 / 그 해 6월 출시), 현대 트라제XG (쇼카 / 그 해 10월 출시), 현대 싼타페(SM) (쇼카 / 이듬해인 2000년 6월 출시), 테라칸 (쇼카 / 2001년 2월 출시) 등이 전시되었다.[1]

3. 4. 2002년 (제4회)

2002년 11월 20일부터 29일까지 열린 제4회 서울 모터쇼에서는 다음과 같은 차량들이 공개되었다.

차량명
GM대우 라세티(J200) (현. 쉐보레 크루즈)
르노삼성 SM3(N17)
쌍용 무쏘 스포츠
기아 오피러스(GH)
대우 플렉스 컨셉
대우 라세티
대우 매그너스
대우 오토 컨셉
현대 쿠페 에어로 컨셉
현대 싼타페 마운티니어 컨셉
현대 스타렉스 리무진
현대 HIC 컨셉
기아 카니발 리무진 컨셉
기아 오피러스
기아 리갈 / 매젠티스
삼성 SM3
삼성 SM3 스포츠 프로토타입
쌍용 헤모스 컨셉
쌍용 아마오 컨셉
쌍용 크로스컷 컨셉
프로토 모터스 스피라


3. 5. 2005년 (제5회)

2005년 제5회 서울 모터쇼에서는 다양한 신차들이 공개되었다. 현대 그랜저(TG)는 모터쇼 공개와 동시에 그해 5월에 출시되었다. 크라이슬러 300, 혼다 레전드, 스피라(당시 프로토모터스)도 선보였다. GM대우 스테이츠맨(쉐보레 카프리스)은 모터쇼에서 공개됨과 동시에 그해 5월에 출시되었고, 기아 그랜드 카니발(VQ)은 쇼카 형태로 전시된 후 그해 7월에 출시되었다.[8][9]

3. 6. 2007년 (제6회)

2007년 4월 5일부터 4월 15일까지 (4월 6일부터 일반 공개) 킨텍스에서 "창조 ~ 새로운 세계가 열리다"라는 주제로 개최되었다.

이 모터쇼에서는 다음과 같은 차량들이 공개되었다.

3. 7. 2009년 (제7회)

2009년 제7회 서울 모터쇼는 "아름다운 기술, 훌륭한 디자인"을 주제로 2009년 4월 3일부터 12일까지 KINTEX에서 개최되었다.[6] 세계적인 불황으로 인해 닛산, BMW 등 많은 해외 제조사들이 불참하여 국내 제조사 위주로 진행되었다.

이 행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차량들이 출품되었다.

차종비고
기아 K7(VG)쇼카, 그 해 11월 출시[6]
기아 쏘렌토 R(XM)모터쇼 공개와 동시에 그 해 4월 출시[6]
르노삼성 뉴 SM3(L38)쇼카, 그 해 7월 출시[6]
대우 마티즈 신형(M200) (현.쉐보레 스파크)쇼카, 그 해 9월에 마티즈 크리에이티브로 출시[6]
아우디 Q5[6]
포드 머스탱[6]
토요타 캠리쇼카, 그 해 10월 출시[6]
토요타 프리우스쇼카, 그 해 10월 출시[6]
토요타 RAV4쇼카, 그 해 10월 출시[6]
현대 신형 에쿠스(VI)[6]
현대 제네시스 프라다(BH)[6]
현대 아반떼 LPi 하이브리드(HD)쇼카, 그 해 7월 출시[6]
기아 포르테 LPi 하이브리드(TD)쇼카, 그 해 7월 출시[6]
기아 포르테 쿱(TD)쇼카, 그 해 6월 출시[6]
현대 투싼 ix(LM)쇼카, 그 해 8월 출시[6]
현대 블루윌 컨셉트[6]
기아 KND-5 컨셉트 (후에 K7)[6]
쉐보레 볼트 (GM대우 부스에서 출품)[6]
르노삼성 eMX 컨셉트[6]
쌍용 C200[6]
혼다 인사이트[6]
혼다 CR-Z 컨셉트[6]
렉서스 IS 컨버터블[6]


3. 8. 2011년 (제8회)

2011년 4월 1일부터 4월 10일까지 킨텍스에서 제8회 서울 모터쇼가 개최되었다. (프레스데이는 3월 31일)[5] 8개국 139개사가 참가하여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되었으며, 한국GM에게는 사명 변경 후 첫 출전이었다.

이 해에는 다음과 같은 차량들이 출품되었다.

제조사차종비고
현대HSD-6 콘셉트, 현대 벨로스터, 쏘나타 하이브리드, VF (i40)
기아KND-6 콘셉트, K5 하이브리드[5], 올 뉴 프라이드(UB)쇼카 / K5 하이브리드 그 해 5월 출시, 올 뉴 프라이드(UB) 그 해 9월 출시
쌍용자동차KEV2, SUT1, 체어맨 H
쉐보레밀레, 볼트, 쉐보레 캡티바 (2세대), 알페온 e-Assist, 크루즈 5(J300), 쉐보레 올란도, 쉐보레 카마로, 쉐보레 코르벳크루즈 5(J300) 쇼카 / 그 해 6월 출시
르노삼성SM7 콘셉트 (2세대), SM3 Z.E., 트위지, 올 뉴 SM7(L47), 뉴 SM3(L38) Z.E올 뉴 SM7(L47) 쇼카 / 그 해 8월 출시
닛산닛산 리프, 닛산 큐브닛산 큐브 쇼카 / 그 해 8월 출시
인피니티인피니티 에센스
토요타토요타 시에나, 토요타 프리우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토요타 코롤라토요타 시에나 쇼카 / 그 해 11월 출시
랜드로버레인지로버 이보크
볼보볼보 V60
BMW비전
아우디아우디 e-트론
포르쉐포르쉐 카이엔 하이브리드/디젤, 911 카레라 GTS
메르세데스-벤츠F800 스타일
혼다혼다 시빅 콘셉트, 혼다 FCX 클래리티
타타대우프리마 콘셉트
푸조508 GT HDi


3. 9. 2013년 (제9회)

2013년 3월 29일부터 4월 7일까지 제9회 서울 모터쇼가 개최되었다. 프레스데이는 3월 28일에 열렸다. 지난 행사보다 많은 12개국 210개사가 참가했으며, 전시 면적은 역대 최대 규모였다. 개최 장소는 킨텍스와 킨텍스 제2전시장이었다.

이 행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차량들이 공개되었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차량들이 전시되었다.

3. 10. 2015년 (제10회)

2015년 제10회 서울 모터쇼에서는 다음과 같은 차종이 공개되거나 판매를 개시했다.

3. 11. 2017년 (제11회)

기아 스팅어, 쌍용 G4 렉스턴이 2017년 제11회 서울 모터쇼에서 공개되었다. 2017년 3월 31일부터 4월 9일까지 제11회 서울 모터쇼가 개최되었으며, 프레스데이는 3월 30일에 진행되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차량들이 전시되었다.

3. 12. 2019년 (제12회)

2019년 3월 29일부터 4월 7일까지 제12회 서울 모터쇼가 개최되었다(프레스데이는 3월 28일). 이 행사에는 현대 쏘나타(DN8), 르노삼성 XM3 인스파이어, 기아 모하비 마스터피스, 기아 SP 시그니처, 현대 팰리세이드, 현대 넥쏘, 제네시스 G90L, 쌍용 코란도 (C300), 테슬라 모델 3, 메르세데스-AMG GT 4도어 쿠페, 마세라티 르반테 트로페오, 쉐보레 타호, 포르쉐 918, 포르쉐 911 (992), DS DS3 크로스백, BMW X7, BMW Z4, 토요타 RAV4 (5세대), 토요타 수프라 (일본명: GR 수프라), 렉서스 LF-1 리미트리스, 렉서스 UX, 닛산 알티마 (L34) 등이 전시되었다.[1] 테슬라가 처음으로 참가하였다.[2]

르노삼성 XM3 인스파이어는 르노 아르카나의 르노삼성 버전으로, 이후 XM3로 출시되었다.[4]

3. 13. 2021년 (제13회)

2021년 제13회 서울 모터쇼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당초 예정보다 연기된 11월 25일부터 12월 5일까지 개최되었다.(프레스데이는 11월 24일)[2] 이번 전시회는 '서울 모빌리티 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규모가 축소되어 진행되었다.[3]

기아 니로(SG2)가 세계 최초로 공개되었고,[3] 이 외에도 다양한 전기차 모델이 전시되었다.


3. 14. 2023년 (제14회)

2023년 3월 30일부터 4월 9일까지 킨텍스 제1전시관 1~5홀에서 제14회 서울 모터쇼가 개최되었다. 3월 31일은 프레스 데이였다.

이번 모터쇼는 쌍용이 KG 모빌리티로 사명을 변경하고 처음 개최되는 모터쇼였다. 기아, 현대, 제네시스, KG 모빌리티가 참가하여 UAM 및 모빌리티 기업으로 확장되었다. "지속 가능하고 지능화된 이동 혁명"을 주제로 하였다.

다음은 2023년 서울 모터쇼에서 공개된 주요 차량이다.

공개제조사차종
세계 최초 공개현대쏘나타 DN8 F/L
세계 최초 공개기아EV9
세계 최초 공개KG 모빌리티토레스 EVX
세계 최초 공개AlphaRex
세계 최초 공개AlphaWolf
세계 최초 공개BMWiX5 수소
아시아 최초 공개이네오스그레나디르



이 외에도 현대 코나 일렉트릭, 현대 파비스, KG 모빌리티 O100, KG 모빌리티 F100 등이 공개되었다.[1]

4. 논란 및 비판

서울 모빌리티쇼가 한국 자동차 산업에 기여하는 바가 크지만, 몇 가지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5. 한국 자동차 산업에 대한 기여

이전 출력물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지침에 따라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2021서울모터쇼, 코로나로 내년 7월 변경 개최 https://www.hankooki[...]
[2] 웹사이트 ‘2021 서울모터쇼’ 7월서 11월로 연기…“코로나 대비 관람객 안전 위해” https://www.dailycnc[...]
[3] 웹사이트 ‘쪼그라든 서울모빌리티쇼, 한국GM·르노삼성·쌍용차 등 불참 https://www.motorgra[...]
[4] 웹사이트 Seoul motor show 2013: report and picture highlights http://www.autocar.c[...]
[5] 웹사이트 2011 Seoul Motor Show http://photos.denver[...]
[6] 웹사이트 Seoul Motor Show 2009 - Highlights http://www.cardesign[...]
[7] 웹사이트 Seoul Motor Show: Kia reveals KND-4 concept http://www.autoblog.[...]
[8] 웹사이트 Seoul Motor Show 2005 - Highlights http://archive.carde[...]
[9] 웹사이트 Feature: 2005 Seoul Motor Show http://www.autos.ca/[...]
[10] 웹사이트 GM DAEWOO at the 2002 Seoul Motor Show: World Premiere for the New Lacetti http://www.theautoch[...]
[11] 웹사이트 Hyundai concept vehicles at the Seoul Motor Show http://archive.carde[...]
[12] 웹사이트 The 2002 Seoul Motor Show http://world.kbs.co.[...]
[13] 웹사이트 History of Brand: Kia http://carsfolia.com[...]
[14] 웹사이트 History of Brand: Samsung http://carsfolia.com[...]
[15] 웹사이트 Hyundai http://allcarindex.c[...]
[16] 웹사이트 Seoul Motor Show History http://www.motorshow[...]
[17] 웹사이트 Asia Motors http://allcarindex.c[...]
[18] 웹사이트 Kia http://allcarindex.c[...]
[19] 웹사이트 SsangYong http://allcarindex.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